분류 전체보기

자바스크립트: 요소(element) 선택 getElementById getElementsByClassName ..

바스크립트에서 요소(element) 선택은 HTML 문서 안의 특정 태그를 가져와서 조작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예제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etElementById("id") → 하나만 선택getElementsByClassName("class") → 여러 개 (HTMLCollection)getElementsByTagName("tag") → 여러 개 (HTMLCollection)querySelector("선택자") → 첫 번째만querySelectorAll("선택자") → 모든 요소 (NodeList) 1. getElementById()id 속성으로 요소를 선택 안녕하세요 제목 바꾸기 2. getElementsByClassName()같은 class 속성을 가진 여러 요소 선택 ..

자바스크립트: 로그인 페이지 만들기

여기서는 아주 기본적인 방식으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맞으면 로그인 성공 처리, 틀리면 실패 메시지를 띄우는 자바스크립트 코드입니다.(※ 실제 서비스에서는 보안상 서버와 DB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이 코드에서는 아이디와 암호가 프로그램 코드에 입력되어 있습니다.아이디: admin, 비밀번호: 1234 입력 시 성공로그인에 성공했을 때 "https://coding-abc.tistory.com" 이동하도록 하는 코드입니다. 로그인 로그인 아이디: admin, 암호: 1234 -- 맞으면 coding-abc.tistory.com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파이썬: 파일명을 입력하면 워드클라우드(Word Cloud) 이미지 생성

워드클라우드(Word Cloud)란 텍스트 데이터에서 단어의 빈도나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쉽게 말해, 긴 글에서 **“어떤 단어가 자주 나오나?”**를 그림처럼 보여주는 도구를 말합니다. 📌 특징단어 크기: 많이 등장하는 단어일수록 크게 표시됨배치: 보통 구름 모양처럼 흩뿌려진 형태로 배치색상: 단어의 그룹, 빈도, 또는 무작위 색상으로 꾸밀 수 있음목적: 텍스트 데이터를 한눈에 요약해서, 어떤 단어가 핵심적인지 쉽게 파악 가능 📖 예시뉴스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를 분석고객 리뷰에서 많이 언급되는 단어 시각화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이 자주 사용한 단어 확인 📊 활용 분야데이터 분석 및 텍스트 마이닝여론 분석 (SNS, 댓글, 리뷰)교육 및 발표 자료 시각화 아래 코드는 ..

Python 2025.08.17

Javascript: 반복문 for while do of in break continue

자바스크립트의 반복문(loop) 은 같은 동작을 여러 번 실행할 때 사용합니다.대표적인 반복문은 for, while, do…while, 그리고 배열 전용 반복인 for…of, for…in 등이 있습니다.1. for 반복문가장 기본적인 형태반복 횟수가 명확할 때 사용// 1부터 5까지 출력for (let i = 1; i 실행 흐름let i = 1 → 초기화i console.log(i) → 실행i++ → 증감조건이 false 될 때까지 반복2. while 반복문조건이 참일 동안 반복let count = 1;while (count 반복 횟수가 미정이고, 조건으로 제어할 때 적합3. do…while 반복문무조건 한 번은 실행 후 조건 검사let num = 1;do { console.log(num); ..

Javascript: 조건문 if

자바스크립트의 if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조건문입니다.1. 기본 문법if (조건) { // 조건이 true일 때 실행될 코드}조건이 true로 평가되면 중괄호 안의 코드가 실행됩니다.false면 실행되지 않습니다.2. 예제 1 — 기본 if문let age = 20;if (age >= 18) { console.log("성인입니다.");} 실행 결과성인입니다. age >= 18이 true이므로 메시지가 출력됩니다.3. if ~ else 문let age = 15;if (age >= 18) { console.log("성인입니다.");} else { console.log("미성년자입니다.");} 실행 결과미성년자입니다. 조건이 false일 때 else 블록이 실행됩니다...

Javascript: 함수 Function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개념을 기본부터 차근차근 예제와 함께 설명합니다.1. 함수(Function)란?정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장점:재사용성 → 같은 기능을 반복 작성할 필요 없음코드 가독성 향상유지보수 용이2. 함수 선언 방법(1) 함수 선언문 (Function Declaration)function sayHello() { console.log("안녕하세요!");}// 호출sayHello(); // 출력: 안녕하세요! 특징: 선언 전에 호출 가능 (호이스팅 적용)(2) 함수 표현식 (Function Expression)const sayBye = function() { console.log("안녕히 가세요!");};sayBye(); // 출력: 안녕히 가세요! 특징: 변수에 함수를 할당..

Javascript: 계산기 calculator

자바스크립트로 만든 계산기입니다.아래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칙연산, 소수점, 퍼센트(일반 공학계산기 방식), 부호 전환(±)연속 계산(= 후 바로 이어서 연산 가능)AC(전체 초기화), C(한 글자 삭제), 복사 버튼(결과 클립보드 복사)키보드 입력 지원: 숫자/+, -, *, /, ., =, Enter, Esc, Backspace, % JS Calculator 0 AC C % ÷ 7 8 9 × 4 5 6 − 1 2 3 + 0 . = ..

Javascript: 연산자 Operators

자바스크립트의 **연산자(Operators)**를 종류별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각 연산마다 간단한 예제를 만들었습니다.1.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숫자 연산에 사용됩니다.연산자설명예제결과 연산자설명예제결과+더하기5 + 38-빼기5 - 32*곱하기5 * 315/나누기5 / 22.5%나머지5 % 21**거듭제곱2 ** 38++1 증가let x=5; x++;6--1 감소let x=5; x--;4 2. 대입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s)변수에 값을 할당합니다.연산자설명예제결과=기본 할당x = 1010+=더해서 할당x += 5x = x + 5-=빼서 할당x -= 5x = x - 5*=곱해서 할당x *= 5x = x * 5/=나눠서 할당x /= 5x = x / 5%=나..

Javascript: 호이스팅 Hoisting

자바스크립트에서 **호이스팅(Hoisting)**은 변수나 함수 선언이 스코프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것처럼 동작하는 현상이에요. 🚀 이는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선언문을 먼저 처리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변수 호이스팅var로 선언된 변수는 호이스팅되지만, 선언만 끌어올려지고 초기화는 끌어올려지지 않아요. 따라서 변수가 선언되기 전에 접근하면 undefined 값이 할당됩니다.반면, let과 const로 선언된 변수는 호이스팅되지만, 초기화되기 전까지 접근할 수 없는 **'일시적 사각지대(Temporal Dead Zone, TDZ)'**에 놓이게 됩니다. 이 기간에 변수에 접근하려 하면 ReferenceError가 발생합니다.// var 변수console.log(a); // undef..

Javascript: 변수 Variable var let const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variable)**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참조하는 데 사용되는 컨테이너입니다. 변수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나중에 해당 데이터에 이름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변수 선언 및 초기화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주로 var, let, const 세 가지 키워드를 사용합니다.varvar는 초기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데 사용되었던 키워드입니다.재선언 및 재할당 가능: 같은 이름의 변수를 여러 번 선언할 수 있고, 값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함수 스코프(Function Scope): var로 선언된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함수 내에서만 유효합니다. 함수 밖에서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var name = "Alice";console.log(nam..